(2) 한국에서의노력
1964 년 박정희 대통령에게 한일회담에 제출할 귀환요청서가 제출됐다. 그러나 한국 정부는 회담에서 사할린 문제는 논의조차 하지 않은 채 조약을
체결하고 말았다. 이후 한국 정부는 냉전의 벽을 핑계삼아 사할린 한인들의 귀환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.
27 февраля 2016г. состоялась отчетно-выбор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МОО «ОСК».
В конференции приняло участие 48 человек.
Председатель собрания: Пак Александр
Секретарь собрания: Ку Сун Дя
Члены конференции утвердили полномочия и повестку конференции.
1 марта в посольстве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в России состоялось торжественное мероприятия в честь 97-й годовщины Первомартовского движения. В мероприятии приняли участие члены общества МОО "ОСК". На фото: члены общества с Послом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в РФ г-ном Пак Но Беок (박노벽 대사님).
3)소련시대의사할린한인의생활
(1) 망향의고착화:(1945–1959)
1945년 8월 8일 소련이 대일 선전포고를 하고 남사할린을 점령한 후, 8월 23일 일본인의 출국을 금지했다. 이 출국금지조치에 의하여 당시
일본국적을 가지고 있었던 한인 약 4만3천 여명도 함께 억류됐다. 1945년 8월을 전후로 남사할린은 북사할린에서 남진하는 소련군과 일본군이
전투가 벌어지는 상황이었고, 당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조선인을 "스파이"로 몰며 무자비한 폭력이 자행됐다.